문 대통령 65회 현충일 맞아 대전서 추념사독립과 호국 영웅들 다르지 않다는 점 강조하며 사회 통합 메시지"독립·호국·민주 영령들은 각자 시대가 요구하는 애국을 실천"참전유공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제 65회 현충일을 맞아 "독립과 호국이 오늘 우리가 누리는 대한민국의 뿌리"라며 "독립·호국·민주 영령들은 각자 시대가 요구하는 애국을 실천했고, 새로운 시대정신과 역동적인 역사의 물결을 만들어냈다"고 강조했다.
독립군과 6.25전쟁 호국 영웅들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며 65회 현충일을 맞아 사회통합의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통해 이같이 말하며 "오늘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번영은 가장 빛나는 시기 자신의 모든 것을 조국에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헌신과 희생 위에 서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이날 행사는 국립 대전 현충원의 현판을 안중근 의사의 글씨체로 교체 한 뒤 열린 첫 행사로 문 대통령은 "매우 뜻 깊다"며 "안 의사가 마지막으로 남길 글씨는 '위국헌신 군인본분'이었다. 광복군을 거쳐 지금의 우리 군까지 이어지고 있는 군인정신의 사표"라고 추념사를 시작했다.
이어 홍범도, 김좌진 장군 등이 활동한 독립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창설한 광복군이 국군의 뿌리라는 점을 강조하며 "독립정신을 호국정신으로 계승하여 6.25전쟁에 참전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광복군 참모장 김홍일 장군은 '한강 방어선 전투'를 지휘했다"며 "장병들과 함께 혼신의 힘을 다해 북한군의 남하를 막아냈고, 반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또 "독립군의 딸, 故오금손 대위는 6·25전쟁 때 '백골부대' 간호장교로 복무했고, 전역 후 오지의 환자들과 가난한 독립운동가들을 돌봤다"며 "이곳에 잠들어 계신 故김필달 대령 역시 1950년 11월 간호장교로 임관해 6·25전쟁과 베트남전에 참전했고, 간호병과장을 역임했다"고 설명했다.